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우리아이, 드림렌즈 피팅하는 법!

 이번에 포스팅할 드림렌즈는 일반적으로 얇지 않은 렌즈를 사용할때의 경우입니다.

제가 근무하는 안과에서 취급하는 얇은렌즈는 피팅방법이 다릅니다.

나중에 따로 다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력검사를 기본적으로 하고 각막지형도 검사를 통해 데이터를 얻습니다.

예를들면

이런 것들을 얻겠습니다.

ARK
ARK(1.2-각막곡률값 K1,K2의 디옵터와 MM 를 나타냄,3.난시량)
각막지형도
각막지형도(1.각막곡률의 mm,2 각막곡률의 디옵터 3.편심률 ecc값)


두가지 데이터가 너무 차이가 나면 다시한번 찍어봐서 확인해봅니다.

기계이지만 사람의 손으로 찍는 것이고 각막상태가 안좋았을때 찍은 것일 수도 있기에 부정확하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너무 다르거나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생각이 들면 눈물약을 한번 넣고 여러번 다시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ECC 30도값(평균값)에 따른 피팅할 베이스커브 결정합니다.
드림렌즈 피팅가이드에 표시된 3.ecc표를 참조합니다.

드림렌즈 피팅가이드
드림렌즈 피팅가이드.

 환자의 K1값을 ecc값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따라 올리거나 내리거나 해서 처음 피팅값을 정해봅니다.

ex)k1값이 7.67이고 ecc값이 0.38이면 0.50steep이니 7.67보다 두단계 수치를 낮춘 7.58이 되겠습니다.

mm 수는 steep하게는 수치를 낮추고 flat하게는 수치를 높입니다.

디옵터는 steep하게는 수치를 높이고 flat 하게는 수치를 낮춥니다. 

서로 반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냥 mm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실히 인지하고 디옵터는 반대라고 기억하면 쉽습니다.

3번표 보는 방법

(0.30~0.39) (0.50~0.75steep)- 바깥쪽끼리 안쪽끼리 적용함

적용방법
적용방법

0.30이면 0.75, 0.39면 0.50 볼펜이 있다면 
0.25단위로 한단계 f-(ex:7.67up 44.00 down)
                               s-(ex:7.67down 44.00 up)

이것을 플로레신 염색을 시켜 진료실에서 현미경으로 패턴을 들여다 보고 수치를 변경할지 교정작업을 들어갑니다.


※일련의 교정과정

착용했을때 너무 아랫쪽이나 코쪽으로 박히면
점점 flat하게 바꿔서 착용해나갑니다.
착용했을때 너무 윗쪽이나 귀쪽으로 박히면
점점 steep 하게 바꿔서 착용해나갑니다.


☆그밖의 참고사항
드림렌즈할때 각막싸이즈에 따라 렌즈크기결정합니다.
WtoW(각막싸이즈) 11.7 이하면 10.2
                                  11.8 이상이면 10.6인데
보통은 10.6으로 많이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10싸이즈나 11싸이즈로 주문넣기도합니다.
각막난시가 너무 안잡히거나 애초에 각막난시가 -1.5이상이면 난시용 드림렌즈로 피팅합니다.


베이스커브가 이렇게 정해지면 돗수를 정해야 겠습니다.

보통 시험착용렌즈는 -1~-4로 이루어져있는데 보통은 -2 와 -4 로 구성되있는 세트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베이스커브를 정한 후에 Over Reflaction을 통해 추가적인 돗수를 알아봅니다.

렌즈를 낀 상태에서 시력검사를 통해 추가돗수를 알아봅니다.

그 값과 시험착용 돗수를 더해 최종돗수를 정해봅니다.


3~4일간의 대여를 통해 잘 눌려졌는지 확인한 후에 비로소 주문이 들어갑니다.

아이의 협조상태와 집에서 할수 있는지 하는 판단을 위해서라도 대여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병원마다 조금씩 다른 검사나 절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