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황반변성! 모눈종이 제대로 보이고 계신가요?

 모눈종이 한번도 못보신 분은 없겠죠?

바둑판도 이렇게 생겼고

예전 제가 학교다닐때 교문앞에서 종종 나눠줬던 엠씨스퀘어 노트가 생각이 납니다.

이거 받아들면 아침부터 오목한판은 때리고 시작했는데요 ㅋㅋ

공부하라 줬더니 오목이나 뒀던 학창시절이 떠오르네요.


어쨌든,

오늘은 모눈종이를 가져와봤어요.

안과에선 암슬러격자라고 불리는 검사도구에요.

모눈종이에 오목한수나 바둑한수 시작한것 같죠?

검은점을 바라보면 검사 끝!

별다르게 무언가를 많이 해야하고 하는 검사는 아니에요.

그저 바라만 보면 되요.

 "근데 이게 뭘 검사하는건데?"

이건 황반변성을 검사하는 검사입니다.

황반에 변성이 일어났다!

라는 뜻에서 황반변성!

안저촬영 fundus-망막사진이에요.여기서 중요한 것은 황반부와 시신경부분입니다. 어디일까요?
disc -여기가 시신경이고 녹내장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비율을 체크해서 녹내장의심인지 아닌지 의사분들이 판단합니다.
macular-이부분이 오늘포스팅과 관련된 황반부입니다. 당뇨가 있거나 여러원인으로 인해 변성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곳입니다!

의사분들이나 안과근무자 아니면 이 사진을 봐도 황반변성인지 뭔 이상이 있는지 알수가 없지요.

그러나 쉽게 황반변성이 생겼는지 판단할수 있는 것이 있어요.

그건 바로 아까 봤던 모눈종이, 암슬러격자인데요.

황반변성이 있으면 저 모눈종이의 가운데 검은 점을 보게 되면

격자가 격자가 아니게 됩니다.

왜곡이 일어난 것처럼 보입니다.

왜곡의 모양은 여러가지로 나타날수 있고, 물결치는 등 여러모양이 있을수 있어요.(저의 미리캔버스 이미지 생성능력으론 여기가 한계)

실물 물체에 선을 봐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정도가 약하면 못느끼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초기에 오신분들에게

이런 암슬러격자가 그러진 책자나 부채 이런걸 드리기도 합니다.

초기에는 이런 격자의 왜곡도 느껴지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정도면 아직 다행인거죠.관리만 잘 받으면 되니까요.

(병원 정기적으로 다니시라는 이야기겠죠)


이런걸 안과에서 받았다면

틈틈히 가끔 시간되실때 봐주시는게 좋아요.

망막과 관련된 질환은 되돌리기가 무척이나 어렵기때문에 초기진료를 통한 초기진압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안과 정기검진은 성장기 아이들만의 코스가 아닙니다.

오히려 성인분들이 더 많은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1년에 한두번 간단한 검진이라도 꾸준히 받아보세요^^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