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건조증과 시력의 상관관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조증과 시력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일단,

건조증이 뭘까요?

눈물이 쉽게 마르고 건조하다는 거잖아요?

증상이 어떨까요? 

따갑고, 충혈도 되고, 뻑뻑하고 뭐 다들 알고 있는 그런 증상 있잖아요?

그리고 건조증이 심할수록 눈물이 더 많이 나는 경향도 있습니다.

'눈물이 많이나는데 무슨 건조증이냐? 안나서 불편한게 건조증 아니냐?'

맞습니다.

물이 없는 게 건조증이죠. 그러나!

건조한 피부를 생각해봅시다.

건조한 피부에 손톱으로 살짝만 긁으면 뻘겋게 되거나 짓무르기까지 하잖아요.

눈도 마찬가지입니다.

평상시에 눈물층으로 덮여있어야할 각막표면에 눈물이 없다면

자그마한 충격이나 외부노출로 인해 논밭갈라지듯 충혈이 되거나 짓무름과 같은 작용으로 눈물이 나오는 겁니다.

그래서 풍성한 눈물로 자신이 건조증일거라고는 생각을 안하시는 경우도 많아요.


건조증과 시력과는 어떤관계가 있을까요?

이것먼저 생각해봅시다.

물을 땅에 흘려보낸다 생각해봅시다.

땅의 형태는 세가지입니다.

평지와 경사도가 완만한 곳, 경사도가 가파른곳 중 어느곳이 제일 잘 마를까요?

평지는 닿는 그대로 밀리지만 않는다면 그대로 있껬죠.

경사도가 있다면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겠죠.

그정도가 가파를수록 위에서 아래로 흩어짐의 정도가 높겠죠.

근시가 심할수록 눈은 뾰족한 형태를 갖습니다.

눈의 모양을 생각해봅시다.

눈은 둥근모양이죠?

육안으로는 그리고 직접 본인눈을 만져봐도 얼마나 둥근지 그 정도는 가름하긴 힘드시겠지만.

각막지형도검사를 통해서 보면

눈의 가파름이 원시나 정시안보다 근시안이 더 뾰족한 원의 모양을 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막지형도검사(학교다닐때 산의 등고선 그리기 배웠죠? 눈이 산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빨간색을수록 가파르고 파랗고 녹색일수록 편평함)

방금, 위에서 말씀드린 원리로 눈물은 뾰족한 각막표면을 타고  경사면을 타고내려 고른 눈물층을 유지하고 힘듭니다.

말라버린 표면들이 많아지고 건조해지는 겁니다.


드림렌즈나 라식수술의 원리가 이 가파름을 깎거나 눌러줘서 정시안의 편평한 각막의 상태로 만들어주는 원리입니다.

어? 근데 렌즈나 라식하면 더 건조해는데?

왜 말이 달라져?

라식이나 드림렌즈 하는경우, 시술전에 이미 근시이기 때문에 뾰족한 형태였고 건조증이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라식은 특히 칼을 눈에 대는 수술이기에 그것자체만으로도 건조증 유발요인이 됩니다.

소프트렌즈는 말할것도 없고, 하드렌즈나 라식을 하는 행위자체가 건조증을 동반하는경우가 많기에 부작용이라고도 부르기도 뭐한 시술후증상쯤으로 생각해야 할것 같아요.


요점**

피할수 있는 소프트렌즈나 써클렌즈는 피하는게 좋고요!

대놓고 눈물을 뺏어갈 준비를 하는 것들이니까요.

하드렌즈나 드림렌즈, 라식수술종류도 건조증을 많이 신경써서 해야 합니다!

시력의 질을 결정하는데에 큰 요인으로 작용하니까요.


눈에 입장에서 봤을때 아무것도 안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그러나,

무슨 시술이나 렌즈를 끼든 하는 경우가 된다면

건조증을 대비해 눈물약을 넣는 생활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