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무지개 다리 건너 가고 싶어도~!

 무지개하면 여러가지 상징이 있죠?

전 우주용사 썬가드~!! 노래가사가 떠올랐어요 ㅎㅎ

지금은 갈수 없는 저먼우주를...

로~보트! 로~보트! 우주용사 썬가드~!!ㅋ

썬가드 재밌었는데...불새형~!!!도와줘~!

다간과 쌍벽을 이룬 썬가드!

재밌었는데..암튼 이얘기가 아니고...


오늘은 그 중에 눈과 관련된 무지개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이것! 프리즘 효과로 나타나는 무지개, 기억하십니까? 학교에서 배운건데...

우리는 학교다닐때 빨주노초파남보가 어떻게 생기는지 프리즘으로 배웠었어요.

색마다 굴절률이 달라서 프리즘을 통과한 순간 나눠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 프리즘이 위아래로 합쳐진것이 우리 눈의 빛통과의 원리입니다.

예전 포스팅에서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빛이 굴절이 일어나서 망막 한곳에 모인다고 말씀드린적 있습니다.

빛의 굴절력도 색마다 다른것도 있지만 이 프리즘에 해당하는 수정체나 각막의 굴절률도 다르기에 위치가 제각각이 될수밖에 없는데요. 어려운말은 뒤로 빼고 여기서 이것하나만 설명하고자 합니다.

바로 이것!

적녹시표,시력검사 말미에 이화면보여주며 어느쪽이 더 잘보여요? 물어봅니다.

적녹시표를 말씀드리려고요.

근시기준으로 빨강쪽이 더 잘보이면 저교정, 녹색쪽은 과교정입니다.

원시기준으로는 반대이고요.

대뜸 그게 무슨 원리냐?

설명드릴게요.

빨주노초파남보에서 빨강과 녹색만 끄집어 냅시다. 굴절정도가 차이가 나는것 보이시죠?

이 원리를 이용해 볼록렌즈나 오목렌즈 +나 -  돗수를 조정해가며 양쪽의 선명도 같거나 비슷하게 만들어줍니다.

볼록렌즈(+) 수렴효과
오목렌즈(-) 발산효과

정도에 따라 + - 의 정도를 가감합니다.

가운데 검은 화살표(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는 굴절교정상태)가 망막에 맺힐수 있도록 오목렌즈나 볼록렌즈의 가감을 미세조정합니다.


붉은색이나 초록색이 망막에 맺혀 흐릿하거나 어지러울수있는 상이 맺혀있다가 조정이 완료되면 망막에 중간화살표가 망막에 맺혀 선명한 상을 보게 됩니다.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