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여러분은 왼눈잡이인가요? 오른눈잡이인가요?

 왼눈잡이, 오른눈잡이

뭔가 말이 어색하죠?

보통 손이나 발을 가지고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왼발잡이, 오른발잡이 하잖아요?

눈도 마찬가지입니다.


보통 우리눈은 두개잖아요.

한쪽만 감고 다니고 그렇지는 않잖아요.

양쪽으로 뜨고 보는 시력이라고 해서...

양안시라고 부르는데요.

검사할때 한쪽 가리고 시력 재는 것을 단안시검사!

양쪽 어지러운지 발란스를 맞추는 것을 양안시검사!라고도 합니다.

쉽게 생각했을때...

두눈은 같은비율로 보는걸로 생각이 되잖아요?

그러나 주된 눈, 보조적인 눈 이렇게 나눌수가 있어요.

두개밖에 없지만 메인이 확실히 구분되어 있어요.

주된 눈과 보조적인 눈이 합쳐져야 입체적인 시력, 입체시가 나오는 겁니다.


우리는 그 주된 눈을 주시안이라고 부릅니다.

말그대로 주시하는 눈이라는 말입니다.

오늘은 주시안을 확인해보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이 점을 이용하는 겁니다.
손을 이렇게 크로스해서 삼각구멍을 만듭니다.

양손을 크로스해서 삼각구멍을 만들어 한점이 삼각구멍에 놓이게끔 팔을 쭉펴서 봅니다.

이때 중요한것은 얼굴과 팔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시선과 팔의 삼각구멍과 검은점이 일직선상에 놓였으면

그대로 한쪽눈을 차례로 감아봅니다.

그러면 한쪽눈에서 검은점이 보이지 않을 겁니다.

검은점이 보이는 눈이 주시안이고 보이지 않는눈이 보조눈이 되는겁니다.

참 쉽죠?

백내장 수술하거나 안경처방을 해드릴때도 주시안이 어딘지 확인하고 맞춰드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렵지 않은거라 시간되시면 한번 해보세요^^


팔뻗기가 혹시 어려우시면

어느 한곳을 주시점으로 정해보고 양눈을 하나씩 차례로 감아보세요.

주시점 위치가 바뀌지 않는 눈이 주시안입니다.

주시점 위치가 바뀌면 그 눈은 보조눈입니다.


참 쉽죠잉~!ㅋ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