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백내장 수술을 했는데요.왜?

 

백내장수술은 수정체부분만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백내장 수술을 했는데 왜 안경을 써야 하나요?

남들은 백내장 수술을 하고 나서 잘보인다는데 왜 나만 이렇게 잘 안보이고 불편해요?

예전에 백내장 수술했는데 다시 뿌옇게 되었어요. 다시 수술해야 하나요?


예전 백내장 수술에 관해 포스팅을 했을때 가장 많이 묻는 질문에 답변을 해드렸어요.

 Q: '왜 굳이 인공물을 넣어야 하죠?'

-A: 수정체의 대신, 없으면 무수정체로서 시력이 나오지 않아서 수술하는 시력적인 의미가 없음


오늘은 그만큼 많이 물어보시는 수술에 관한 궁금증 몇가지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Q1. 백내장 수술을 했는데 왜 안경을 써야 하나요? 수술이 잘못된건가요?

A-백내장 수술은 애초에 시력교정수술이 아닙니다. 

   시력개선효과는 당연히 있지만 이건 뿌연창문을 깨끗하게 하는 수술일 뿐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눈안의 인공수정체만 교체할 뿐입니다.

  물론, A-SCAN 이라는 검사를 통해 안축장길이를 측정하여 가급적이면 수술후 기대값이 굴절이상값이 0 에 가깝게 만들어 근시난시원시 량을 최대한 줄여서 인공수정체의 돗수를 정합니다.

그러나, 각막곡률에 의한 굴절이상과 기타 여러 눈상태에 따른 굴절이상도 있기에 수정체교체만으로 1.0 시력에 전부 맞추긴 어렵습니다. 

단지, 난시가 너무 많거나 돋보기를 가급적 쓰고 싶지 않은 분들은

난시교정용이거나 다초점용 인공수정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것도 각막상태 등 제약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도 백내장수술을 진행할때 목표치는 1.0과 정시안으로 검사를 하지만 굴절이상으로 안경을 써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돋보기는 당연히 써야되고요. 다초점으로 하지 않는 이상...

다초점도 종종 멀리보는 안경은 써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Q2.남들은 백내장 수술을 하고 나서 잘보인다는데 왜 나만 이렇게 잘 안보이고 불편해요?

앞서 말씀드린대로 각자의 굴절이상과 눈상태가 같지 않습니다.

백내장은 해결하더라도 다른 요소가 작용을 하면 각기 다른 시력과 만족도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Q3.예전에 백내장 수술했는데 다시 뿌옇게 되었어요. 다시 수술해야 하나요?

A- 백내장수술은 두번하지 않습니다.

    백내장 수술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뿌옇게 되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것을 후발백내장이라고 하는데 다시 수술해야하는 경우는 아닙니다.

    인공수정체는 아무 문제 없습니다.

    후발백내장이라는 건, 백내장 뒤에 오는 또다른 백내장현상이 아니라

    인공수정체가 들어가 있는 주머니 뒤쪽의 혼탁현상이라고 합니다.

    일명, '후낭혼탁'-주머니 뒷쪽이 혼탁해짐-기억해주세요^^


   "수술도 다시 안해주면 나는 어떻해? 이건 어떻게 할까요? 뭐가 되었든 해결을 봐야하잫아요!"


  네, 이것도 없애드릴수 있어요. YAG LASER 야그레이저라는 레이저시술로 간단히 혼탁을 제거할수 있습니다.

 그러면 다시 수술 후 잘보이는 시력으로 돌아옵니다.

 산동제를 눈에 넣고 한시간 가량 기다려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레이저시술은 5분가량으로 짧습니다.

그후에 20분 정도 대기했다가 안압이 혹시 올라갔는지 체크하고 집으로 가시면 되요.

다음날 시력을 다시 재보면 수술후의 시력으로 다시 돌아왔음이 확인됩니다. 그때 안압도 한번 더 체크합니다^^

그럼 후낭혼탁 제거과정 끝~!!!


PS!

한가지더 말씀드릴게요.

백내장 수술을 하고 한두달 뒤에 안정이 되면 돗수체크를 해서 안경처방을 드립니다.

이때, 어르신들!!!

귀찮더라도 꼼꼼히 어지러운지 어떤지 확인해주세요.

어지러울수 있으니 충분히 다녀보고 오세요.

하면 몇발자국 좀  다녀보고 오셔서 됐다고 이걸로 해주세요 하셨다가

안경맞추고 불편하다고 오시는경우가 가끔 있어요.

이걸 확인하는 작업은 검안사도 그렇지만 환자분 당사자분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