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렌즈 피팅~! 고객님~~이거한번 껴봐봐요~

뭔가 인피니티스톤? 뭐 이런거 같지 않나요?ㅋㅋ

 

색도 여러가지 입니다.
보존용액을 담은 통에 렌즈는 담겨있습니다.



옷가게 가면 옷을 고를때 여러가지 싸이즈도 재고 본인한테 맞는지 입어보기도 하고 하잖아요?

맘에 드는데 약간 뭔가 걸리면 직원한테 수정도 가능한지 물어도 보고 다른 싸이즈가 있는지 물어보기도 하고요.

우리 마눌님 따라다녀보니

여자분들 립스틱 고를때도 빨강색의 디테일을 고르려 한참을 시간을 투자하십니다.

"어떤게 더 나아?"

물어보지 않길 바라면서 기다릴뿐이죠 ㅋㅋ

"어? 그, 그거...."

ㅋㅋㅋ

어쨌든 렌즈도 피팅이 필요한데 어떤걸로 피팅하느냐~ 짜잔!!

렌즈피팅셋트입니다.

시력검사실의 트라이얼렌즈셋트의 하드렌즈버전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다시 렌즈로 돌아와서 드림렌즈와 하드렌즈 피팅세트입니다^^

이렇게 모아보니 얼핏보면 백화점1층에 있는 화장품코너 같지 않나요?

전 그렇게 보였어요 ㅋㅋ

드림렌즈
-비구면 하드렌즈, 구면 하드렌즈
고급버전의 드림렌즈 (피팅수월하고 효과더 좋다고 나온 고급버전의 드림렌즈)

지금 보여드린건 한 회사의 렌즈입니다.

종류가 여러가지라 다 모아두면 엄청 많을겁니다^^

어쨌든 하나하나 보면 이런 통으로 이루어졌어요.

통 뚜껑에 FK값이 적혀있는데 이것이 굴곡도를 표시한것입니다. PW는 안경돗수에 해당되고 S는 렌즈크기를 말해요.

보통 저 세가지 수치를 이용해서 렌즈피팅을 합니다.

시력검사와 ARK, 각막지형도검사를 마친후에 그 수치와 맞는 뚜껑의 수치를 찾아 렌즈를 껴보고 합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린 것처럼 하드렌즈는 반창고처럼 딱 달라붙는 소프트렌즈와 달리

눈동자 주위를 깜빡할때마다 움직이는 렌즈입니다.

그래서 시험착용렌즈를 모양에 맞게 껴보고 움직임이 좋은지 확인해야합니다.

1.깜박 깜박 여러번 하면서 동공주위로 계속해서 머물러있으면 센터링이 잘 맞는다고 해서 거기서 검사 끝!

2.그러나 렌즈가 동공 위쪽에 너무 치우쳐있거나, 아래로 쳐박히거나

3.너무 코쪽에 있거나 반대쪽에 있거나

4.너무 속도가 빠르게 떨어지거나 너무 느리게 떨어지거나...

여러변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FK값을 올리거나 내리거나 하는데요.

올리는경우-밑에 내려가있거나, 너무 빠르게 내려오거나, 코쪽에 있거나

내리는경우-위에서 잘 안떨어지거나, 너무 느리게 내려오거나, 귀쪽에 있거나

뭐 이런식으로 디자인을 맞춰가는겁니다.

대부분은 사진에 있는 렌즈에서 해결은 되지만, 간혹 벗어나있는 각막곡률을 가지신분들은 렌즈가 불가한 경우도 있어요.


피팅방법은 위처럼 교과서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전혀 엉뚱한 모양이 잘 맞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걸리기도 하죠.


렌즈모양이 잘맞는지 확인하는것은 진료실로 들어가서 합니다.

원장님이 눈을 염색해서 보는데요.

이 염색약은 금방 사라지니 걱정마시고요 ㅋ

티도 나지 않지만 파란불을 비쳤을때 녹색의 형상을 띄게 하는 안약입니다.

그렇게 검사를 해서 맞는지 확인하고 조정해야하면 다시 렌즈 빼고 다른것으로 조정을 하는것이지요.


이렇게 렌즈패턴을 맞춰가기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리는경우가 많아요.

사람 많은 토요일은 피해주시고

검사 몰려서 제대로 검사가 안이루어질수 있어요.

평일에 시간여유있으실때 1시간 생각하시고 오세요^^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