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 시야검사 결과로 보는 녹내장 초기 신호와 눈 건강 관리법

이미지
눈의 건강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OCT 검사 와 시야검사 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환자분의 검사 예시를 통해 시신경 손상의 초기 변화와 관리법 을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란? OCT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의 구조를 단층(층별) 으로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눈 속 신경층의 두께, 황반 중심부의 형태, 망막 부종 여부 등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같은 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시간: 약 5분 통증: 없음 결과 확인: 바로 가능 disc OCT(오른쪽) disc OCT(왼쪽)   OCT(빛간섭단층촬영) 검사 결과 설명 🔹 1. 검사 개요 OCT 검사는 망막(눈 안쪽의 신경막)과 황반(시력의 중심부)을 단층 촬영 해서, 눈 속 구조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즉, 망막이 얼마나 두꺼운지 , 부종이나 손상이 있는지 , 황반 중심이 정상인지 를 보는 검사예요. 🩺 오른쪽 눈 (R) 망막 두께(Macular Thickness): 약간 얇아진 부위 가 있습니다. 황반 중심(Fovea): 형태는 전반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중심부의 미세한 손상 흔적 이 보입니다. 망막층 구조: 일부 내층(Inner layer) 이 얇아져 있으며, 이는 혈류 감소나 시신경 손상 초기 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입니다. 시세포층(Photoreceptor layer): 대체로 보존되어 있지만, 경계가 약간 흐릿한 부분 이 있어, 시야 흐림이나 중심 시력 저하 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리: 현재 심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 같은 질환은 보이지 않지만, 시신경 또는 황반 중심부의 기능 저하 초기 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경과 관찰 과 혈류 개선제 또는 안구 순환 개선 약물 복용이 도움이 됩니다. 🩺 왼쪽 눈 (L) 망막 두께: 오른쪽보다 약...

안과에 취업하실 예비 간호조무사님들께feat.5인미만사업체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하시고 안과에 취업하실 생각이신 간호조무사님들께 이 포스팅을 바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안과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님들이 일하실때 외래에서 간단한 검사장비들은 다룰줄 아셔야 해요.

검안사가 몇명있어서 하실필요가 없는 곳도 있지만

보통 한명이나 두명정도 근무하는 곳에선 바쁠땐 ARK나 안압기기같은 측정기기들을 다루길 병원입장에서 원합니다.

병원입장이 아니라 원장입장이겠죠.

전 솔직히 간호사분들은 간호업무만, 검안사는 검안업무만 했으면 해서 보통 제가 거의 다 하는 방향으로 일을 하지만요.


어쨌든, 기기들을 다루는 경우가 많으니 알고 계셨으면 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일일히 다 알려드릴 순 없지만

공통적인 것 하나!

이것만 알면 그래도 좀 쉬워질 거에요.

1.환자를 앉히고 탁상높이를 환자 앉은키에 맞춰서 위아래로 조정한다.

예전엔 발판에 붙어있었는데 요새는 거의 탁상에 붙어있습니다.
모양은 제각각!!

2. 환자가 얼굴을 올려놓기전에 턱받침대를 어느정도 조정합니다.

이때 얼굴을 놓았을때 눈높이가 눈옆 봉에 표기된 선쯤에 오도록 맞춰야 합니다.

기계마다 선이 있을수 있고 로고가 있을수 있어서 어떤것으로 맞출지 미리 습득해놔야 합니다.

턱받침 높이조절은 이버튼으로 합니다.

버튼이 없고 손잡이 위에 돌리는 것으로 맞추기도 합니다.

3.몸통을 뒤로 바짝 잡아당겨 오른쪽 끝으로 놔두었다가 눈을 찍으러 출발한다고 생각해주세요.

한손은 기기몸통을 한손은 손잡이를 잡으며 이동하면 편해요.

몸통을 우측 끝에서 천천히 좌측으로 움직이다보면 흐릿한 눈을 화면에서 찾게 됩니다.

그러면 천천히 눈 가까이로 앞으로 전진합니다.

그러면 가다보면 높이가 안맞으면 손잡이를 돌려보며 위아래를 맞출수 있고

그러다가 끝까지 돌려봤는데도 안맞는것 같으면 턱받침을 살짝 조정해야 할때도 있고

그렇게 초점잡는 선들이 나타나고 자동으로 찍히거나 잘 안찍히는 분들은 초점 근사치에서 수동으로 버튼을 눌러 찍기도 합니다.


이게말이 쉽지.. 어디가 쉬워보여!!! 말도 어렵다 야!!!

맞습니다. 어렵습니다.

일주일만에 능숙하게 될것이 아니에요.

연습은 직원끼리 하니까 괜찮은데

환자얼굴이 기다리고 있으면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손이 벌벌벌 떨리죠...

그러나 현실은 원장이 일주일내로 다 습득하길 원합니다.

가르쳐줘야 하는 입장에선 너무 난감할때가 많습니다.

'나도 이거 오래걸렸는데...'

말을 해도 

"뭐, 저거 간단하잖아요?"

라는 반응뿐입니다.


부디, 본인분야에 맞는 일만 할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수 있는 원장님들만 개원했으면 좋겠습니다.

무조건 5인미만인 사업체에 맞춰서 사람들을 구성하고 바쁜외래와 수술을 감당해가며

사람이라도 나가면 신규직원을 뽑아 없는시간 쪼개가며 일을 가르쳐야 하는 이 상황은 정말 난감하거든요.

그러다 지쳐 나가떨어져서 퇴사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이 포스팅에서 진짜로 하고 싶은 말은 이겁니다.

5인미만 사업체의 힘듬을 좀 알고 검안사든 간호조무사든 지원하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직원이 많은 병원도 많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은 5인미만입니다.


검사장비는 욕심을 내서 좋은것으로 셋팅하면서

직원들은 어떡해서든 5일제는 안해도 되고 최소한의 복지만 줘도 되는 5인미만을 유지하는 게 맞는 일일까요?

점점 이런환경에서 일하려 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사람으로 안봐도 되니까 기기와 동급으로만 생각좀 해줬으면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자영업자 사장님들의 사정상 이런법이 만들어진것 같은데

병원은 성격이 다른데 규모만 보고 같은법을 적용하는것이 너무 어이가 없습니다.


그저, 직원들 많고 근무조건이 좋은, 병원에 TO가 나오길 구인사이트를 보며 기다릴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직원은 그저, 현실이 나아지도록 5인미만도 법적용이 확대되길 바랄수 밖에 없는 현실이 씁쓸합니다.

직원입장에선 기기만 투자하고 직원에게는 투자 안하는 사업주가 원망스럽기만 할 뿐입니다.

동네의원급 병원의 근무현실이란 대체로 이렇습니다. 5인미만 사업체!

이런곳에서 제대로된 고급인력이 있을수 있겠습니까?

의사는 고급인력이지만 의사를 돕는 직원들은 빨리 더 좋은 곳으로 가고 싶은...

그래서 저렴한 고된 노동해 지치면 가끔은 짜증스럽고 퉁명스럽게 환자를 대하는 직원들도 보이는 것입니다.

저도 그렇고요...그러면 안되지만요...


직업에 대한 프라이드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뒷받침해주는 현실이 너무 각박한건 사실입니다.


이런 현실 어떠신가요?


출처: https://optometrist-story.tistory.com/ [검안사 이야기:티스토리]